top of page

​프로젝트

Project for a better future

11-5. 회당 모델.JPG

01

유물과 기억

유물과 기억은 미래를 위한 것.

​문명, 국가, 공동체 그리고 개인 삶의 여러 단계와 역사를 유물을 통해 돌아보며, 현재의 자신을 재발견하고 미래의 좌표를 그려보고자 합니다. 유대인의 기억 전달 과정도 함께 탐구합니다. 모든 종류의 소중한 기억 보전을 위한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방식을 구상합니다.

02

고대 팔레스타인과 현대 한국

서로 다른 문화가 성경을 통해 접촉하는 법.

​성경의 배경인 고대 팔레스타인과 현대 한국은 시간과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상호간 맥락화(contextualization)를 통해 비교하고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정서적,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각 지역의 다양한 삶의 측면을 주제별로 모듈화해서 공감과 이해의 장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KakaoTalk_20240928_165828953_02.jpg
ChatGPT Image 2025년 3월 27일 오후 07_06_02.png

03

찾아가는 박물관

박물관 유물이 먼저 말을 걸다.

왜 박물관은 거대한 정적 공간으로 관람객이 찾아오기만 기다려야 할까요. 거대 자본에 의한 영화 산업이 유튜브와 쇼츠에 의해 잠식되어 가듯, 미래의 박물관은 기동성 있는 맞춤형으로 관람객에게 찾아갑니다. 지역, 공동체, 개인의 수요에 맞게 다양한 옵션으로 수요자의 지적, 정신적, 감정적 필요를 충족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04

중동의 포화 속 문명 요람의 미래

중동의 문화유산 없이도 세계는 안녕할까.

식민지 시대 문화유산의 대량 유출이라는 아픔에 이어, 지난 수십 년 간 인류 문명의 요람인 메소포타미아-이집트 문명 지역은 잦은 화염, 파괴, 수탈의 아픔을 겪어왔습니다. 중동의 문화유산이 인류에게 어떤 의미이며, 그 관리의 바람직한 방향은 무엇일까요. 한국의 뛰어난 디지털 아카이빙,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중동 지역 유물/유적의 보전과 전시 방향을 함께 구현하고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해 봅니다. 

6-4_edited.jpg
ChatGPT Image 2025년 3월 27일 오후 10_56_56_edited_edited.jpg

05

과거의 재현 - 현실과 상상 사이

건드려도 될 것과 건드리지 말아야 할 것.

과거의 재현은 영상, 이미지, 가상현실, 증강현실, 글 등 다양하게 표현이 가능하지만,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는 종종 모호합니다. 향후 기술의 진보를 통해 훨씬 더 정교하고 생동감 있는 방식으로 재현될 과거를 상상함과 동시에, 어떠한 경우건 흔들리지 말아야 할 가치의 핵심이 무엇인지도 함께 고찰하고자 합니다. 재현 장르에 맞게 고증의 방식이 어떠해야 하는지, 사회에 바람직한 영향력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06

한국의 현대 문화 속 고대 문명

한국의 현대 문화와 고대 동지중해-중동 문화의 접점 탐구.

문화적 유행이란 무엇이며, 한국의 문화적 트렌드는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 생각합니다. 한국 고대 문명이 현재 한국에서 어떻게 어필하고 있는지 요인을 살피고, 이질적이지만 소중한 동지중해-중동 지역 고대 문명의 가치가 한국과 국제 사회에서 공감을 얻고 국제 사회에서 제품화 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봅니다.

KakaoTalk_20250327_231809881.jpg
11-1. 아누 유대민족 박물관(오른쪽).JPG

07

유대인과 정체성

수천 년 유대인의 생존 방식과 시사점.

​유대인은 성경의 민족이자 정체성의 민족입니다. 이천 오백여년 전부터 시작된 디아스포라의 역사는 많은 역경 속에서도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강한 생명력을 드러냅니다. 무엇이 그들에게 생명력을 불어넣었는지, 그들의 역사를 통해 현대 한국 사회가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강연과 국제 세미나를 통해 나누고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해 봅니다. 

bottom of page